티스토리 뷰

공부노트

청약과 승낙

go_with_hyna 2017. 8. 5. 19:19

2장. 청약과 승낙


1. 청약

 (1) 청약의 종류

   1) Firm Offer(확정오퍼) - 유효기간O, 확정적(firm) 또는 취소불능(Irrevocable) 표시. 

   2) Free Offer(불확정오퍼) - 피청약자 승낙이 있어도 청약자의 최종 확인(confirmation) 필요.

   3) Counter Offer(반대,역오퍼) - 원청약에 대한 거절, 새로운 청약으로 간주.

   4) 청약의 유인(Invitation to offer to treat) - 하나 이상의 불특정 다수. 청약자의 확인 필요.

    "A proposal other than one addressed to one or more specific persons is to be considered merely as an invitation to make offers, unless the contrary is clearly indicated by the person making the proposal."

   5) 교차청약(Cross Offer) - 통일된 국제법규 없음. 

    ex) CISG에서는 교차청약의 offeror와 offeree를 상세히 구분하고 있다. (X)

   6) 조건부 청약(Conditional Offer)

    ① 재고잔유조건부 청약(Offer subject to being unsold) - 재고처리용.

    ② 승인조건부 처약(Offer on approval) - 견본 송부, 신시장 개척 시.

    ③ 반품허용조건부 청약(Offer on sale or return) - 서적 등 정기간행물.

    ④ 최종확인조건부 청약(Offer subject to final confirmation ; sub-con offer)

    ⑤ 선착순판매조건부 청약(Offer subject to prior sale) - 불특정 다수에게 재고물품 일시 처분.

    ⑥ 시장변동조건부 청약(Offer subject to market fluctuation) - 가견 변동이 잦은 물품, 예약불능청약(offer without engagement)라고도 함.

    ⑦ 수출승인획득조건부 청약(Offer subject to export license) - 청약자가 수출승인 취득해야만 성립.

    ⑧ 수입승인획득조건부 청약(Offer subject to import license) - 피청약자가 수입승인 취득해야만 성립.

 (2) 청약의 확정요소 

  : 물품, 수량, 가격.

  ex) 다음 중 청약의 확정요소에 대하여 잘못 설명하고 있는 것은? shipment / currency / quality ...

 (3) 청약의 효력시기

  : 도달주의 원칙. "An offer becomes effective when it reaches the offeree."

 (4) 청약의 철회와 취소

   1) 철회(withdrawal) - 청약통지 도달 전/ 청약통지와 철회통지가 동시 도달.

   2) 취소(revocation) - 승낙통지 도달 전. △Firm offer는 철회는 가능하지만 취소할 수 없다.

    "An offer, even if it is irrevocable, may be withdrawn if the withdrawal reaches the offeree before or at the same time as the offer."


2. 승낙(acceptance)

 (1) 승낙의 효력시기

   1) 한국민법 - 청약 : 도달주의 / 승낙 : 발신주의

   2) CISG - 청약과 승낙 모두 도달주의

   3) 요지주의 - 물리적으로 직접 통지.

 (2) 승낙의 조건

   ① 약정된 기간, 합리적 기간 내 승낙

   ② 청약이 특정인 앞으로 되었다면 승낙도 동일인에 의해서 이루어져야 함.

   ③ 무조건적(unconditional; unqualified)이고 절대적(absolute)

   ④ 승낙의 의사표시(communication of acceptance)가 있어야 함.

 (3) 승낙방법

  ① 청약서상 미리 지정하였을 경우 - 지정된 방법

  ② 지정되지 않았을 경우 - 합리적 방법과 수단

  ③ 구두 청약에 대한 승낙- 즉시 승낙되어야 함.

  피청약자가 승낙통지 없이 물품 발송이나 대금 지급의 행위를 함으로써 동의를 표시할 경우.

   - 승낙으로 간주.

 (4) 승낙철회

  : 승낙통지 도달 전 / 승낙통지와 철회통지 동시 도달/ 계약의 성립 전

   "An acceptance may be withdrawn if the withdrawal reaches the offeror before or at the same time as the acceptance would have become effective."

 (5) 계약을 성립시키지 못하는 승낙

  ① 지연된 승낙(late acceptance) - 청약자가 승낙할 경우 유효함.

   "A late acceptance is nevertheless effective as an acceptance if without delay the offeror orally so informs the offeree or dispatches a notice to that effect."

  ② 승낙의 침묵(silence)

   "A statement made by or other conduct of the offeree indicating to an offer is an acceptance. Silence or inactivity does not in itself amount to acceptance."

  ③ 부분승낙(Partial Acceptance)

  ④ 변경승낙(modified acceptance)

  ⑤ 반대청약 후 다시 원청약의 승낙

  ⑥ 조건부승낙(conditional acceptance)

   ※ 의뢰부 승낙(acceptance accompanied by request) - 승낙으로 간주. 원 청약의 효력에 영향X.

 (6) 승낙기간

'공부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역의 개념과 형태(2)  (0) 2017.08.04
무역의 개념과 형태(1)  (0) 2017.08.04